나이트런: 레콘키스타/스퀘어 오브젝트

덤프버전 : (♥ 0)

||


파일:나레콘 스퀘어.jpg

하늘을 뺏긴 날, 사람들은 실감했다.
자신의 목숨은 저 거대한 무인기에 의해 판단된다는 것을.
괴수토벌의 가능성과 인간의 가치가 저울질되어 계산된다는 것을.
[1]

1. 개요
2. 운영 방법
3. 괴수 습격
3.1. 난이도1
3.2. 난이도2
3.3. 난이도3
3.4. 난이도4
3.5. 난이도5
3.6. 난이도6
3.7. 난이도7
3.8. 난이도8
3.9. 난이도9
4. 보상
5. 시설 레벨업
6. 운영상의 팁


1. 개요[편집]



원작의 스퀘어 오브젝트 운영을 시뮬레이션한다는 컨셉의 서브 컨텐츠. 나이트리그 진척도 2160점을 찍으면 해금된다.
AB소드의 해금과 강화에 필요한 웨폰토큰의 주요 입수처. 방치형 컨텐츠로 기획되었으나, 설계상 보상이 불안정하고 수시로 접속할 것을 요하는 컨텐츠라 유저들의 평은 매우 좋지 않다.


2. 운영 방법[편집]



스퀘어 오브젝트를 가동하는 데에는 S/O마스터키가 필요하다. 마스터키는 한번 스퀘어 오브젝트를 가동할 때마다 하나가 소모되며, 스퀘어 오브젝트 해방까지의 진척도 보상을 통해 3개를 얻을 수 있다. 이후로는 2주마다 시즌 보상으로 2개가 지급된다.

스퀘어 오브젝트 가동시에는 이번 회차의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다. 난이도는 총 9단계가 있으며[2], 초기에는 낮은 난이도만 선택할 수 있으나 진행에 따라 점차 고난도 시뮬레이션이 개방된다.

스퀘어 오브젝트를 가동하면, 좌측의 행성코어, 우측 상단의 행성기관, 우측 하단의 스퀘어 오브젝트가 표시된다.
  • 행성코어는 10분마다 100의 '에너지'를 생산하여 보관하는 기관이다. 에너지는 행성기관 또는 스퀘어오브젝트로 전송할 수 있다.
  • 행성기관은 본 컨텐츠의 보상을 생산하는 기관이다. 행성코어가 생산해낸 에너지를 행성기관에 전송하면, "행성상자"의 레벨이 올라간다. 행성상자의 레벨이 오를수록 상자의 내용물이 늘어나, 회수했을 때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 스퀘어 오브젝트는 행성을 "괴수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스퀘어 오브젝트 가동중에는 일정 시간마다 괴수가 습격해오는데, 행성코어의 에너지를 스퀘어 오브젝트로 전송하여 "출력"을 올려두면 괴수의 습격을 막을 수 있다. 출력은 15분마다 현재 출력의 5%만큼 감소한다.[3] 괴수의 습격을 완전히 막지 못하면 스퀘어 오브젝트의 체력인 "보호막"이 손상된다. 회차 내에서 손상된 보호막을 회복할 방법은 없다.

회차 종료 사유에는 3가지가 있다.
  • 행성기관에서 "보상받기"를 선택하면 지금까지 쌓아둔 행성상자의 보상을 모두 획득할 수 있다. 99레벨까지 키우기에는 스퀘어 오브젝트 보호막이 너무 깎인 경우 선택한다,
  • 행성상자 99레벨을 달성하면 자동으로 회차가 종료되며, 해당 난이도에서 얻을 수 있는 최고수준의 보상을 받게 된다.
  • 스퀘어 오브젝트 보호막이 0 이하로 떨어지면 회차가 강제로 종료되고 현재 행성상자 보상의 절반만이 지급된다.[4]

회차가 종료되면, 원하는 시점에 다시 난이도를 선택하여 새로운 회차를 시작할 수 있다.


3. 괴수 습격[편집]



스퀘어 오브젝트 가동 중에는 일정 시간마다 괴수 습격이 이루어진다. 괴수습격에 관한 내용은 유저들이 경험적으로 알아낸 것이라 오류가 있을 수 있음에 주의.

습격해오는 괴수는 그때그때 다른 공격력과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괴수규모-습격당시 스퀘어오브젝트 출력)*(괴수공격력) 만큼의 피해를 스퀘어 보호막에 입힌다. 따라서 습격 시점에 괴수 규모보다 높은 출력을 유지하고 있었다면 피해 없이 습격을 막아낼 수 있다.

괴수의 공격력과 규모는 "괴수레벨"에 의해 결정되며, 괴수레벨은 '행성상자의 레벨'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행성상자의 레벨이 1~9이면 1레벨 괴수, 10~19이면 2레벨 괴수, 90~98이면 10레벨 괴수가 습격해오는 식. 다만 이는 행성상자 레벨업에 따라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것은 아니며, 직전 괴수습격 시점의 행성상자 레벨을 기준으로 다음 습격까지의 시간과 괴수레벨이 결정되는 것으로 추정된다.[5]

그러나 다음에 습격할 괴수의 레벨을 안다고 해서 괴수의 공격력과 규모를 확실히 예측할 수는 없다. 각 레벨마다 공격력이 높고 규모가 작은 괴수무리, 공격력도 규모도 중간인 무리, 공격력이 낮고 규모가 큰 무리 세 종류가 있고, 이 중 하나가 랜덤으로 습격하기 때문. 따라서 다음 습격을 확실히 완벽하게 막으려면 스퀘어 출력을 다음에 습격할 레벨의 괴수 중 대규모괴수 규모보다 높게 유지해야 한다.

괴수습격은 1~2레벨의 경우 1시간 정도 간격으로 수시로 쳐들어오며, 3레벨 이상인 경우 대체로 하루 정도의 간격을 두고 쳐들어온다. 그러나 기본이 무작위라 이틀 가량을 쳐들어오지 않는 경우도 있고, 3레벨 이상임에도 하루에 몇 번씩 쳐들어오는 경우도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습격 사례를 두고 분석해볼 때, 괴수레벨 별 규모와 공격력에는 몇 가지 패턴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9레벨 괴수와 10레벨 괴수의 공격력 및 규모는 동일하다.
  • 괴수레벨 1~9 기준, 괴수레벨이 1 오를 때마다 동일종류 습격의 공격력이 2씩 올라간다.
    • 난이도2 이상의 스퀘어 기준, 소/중/대규모 괴수는 공격력이 1씩 차이가 난다.
  • 난이도1~4 기준, "일반적으로" 괴수레벨3 이상의 구간에서는 괴수레벨이 1 오를 때마다 동일종류 습격의 규모가 80 올라간다.
    • 난이도2 이상의 스퀘어 기준, 괴수레벨이 오를 때 규모가 줄어드는 구간이 있다. 고레벨 괴수의 규모가 지나치게 커지는 일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감소 직전이라 규모가 극댓값을 갖는 구간은 경우에 따라 빠르게 넘어가는 것이 좋을 수 있다[6].

이하의 문단에서는 각 난이도와 레벨별로 괴수의 공격력과 규모를 확인할 수 있다.
일정한 패턴의 존재가 증명되지 않는 한 실제 확인된 경우만 작성함을 원칙으로 한다.


3.1. 난이도1[편집]



번1
레벨소규모중규모대규모
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
11775121757300
219190143909640
32146016860111360
42354018940131440
525620201020151520
627700221100171600
729780241180191680
831860261260211760
933940281340231840
1033940281340231840


3.2. 난이도2[편집]



번2
레벨소규모중규모대규모
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
1201951929518420
2224302163020880
324940231340221840
426102025142024?
528860271260261760
630?291340281840
7321020311420301920
834110033?322000
93694035?34?
1036?35?34?


3.3. 난이도3[편집]



번3
레벨소규모중규모대규모
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
1222552135520480
22455023750221000
3261180251580242080
4281020271420261920
5301100291500282000
6321180311580302080
7341260331660322160
8361100351500342000
9381180371580362080
10381180371580362080


3.4. 난이도4[편집]



형1
레벨소규모중규모대규모
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
1243152341522540
22667025870241120
3281180271580262080
4301260291660282160
532134031?302240
634?331820322320
736126035166034?
838134037?362240
940?39?38?
1040?39?38?


3.5. 난이도5[편집]



형2
레벨소규모중규모대규모
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
1263832548424610
22869127893261145
330?291878282382
432?31197030?
534?33?322604
636155235196034?
7381656372064362572
840?39?38?
942?41?40?
1042?41?40?


3.6. 난이도6[편집]



형3
레벨소규모중규모대규모
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
1284212752426652
23089929?281361
332?31?302838
4342060332476322992
5361860352276342792
638?37?362920
740211639?38?
842?41269440?
944?43?42?
1044?43?42?

3.7. 난이도7[편집]



식1
레벨소규모중규모대규모
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
1??????
2??????
3??????
4??????
5??????
6??????
7??????
8??????
9??????
10??????


3.8. 난이도8[편집]



식2
레벨소규모중규모대규모
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
1??????
2??????
3??????
4??????
5??????
6??????
7??????
8??????
9??????
10??????


3.9. 난이도9[편집]



식3
레벨소규모중규모대규모
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공격력규모
1??????
2??????
3??????
4??????
5??????
6??????
7??????
8??????
9??????
10??????

4. 보상[편집]



웨폰토큰 보상상자레벨업
필요에너지
상자레벨번1번2번3형1형2형3식1식2식3
1~9?????????200
10~19?????????300
20~29?????????400
30~39?????????500
40~49??33??????600
50~59??43??????700
60~69?????????800
70~79?????????900
80~89?????????1000
90~98?????????1200
9960110160210?????

5. 시설 레벨업[편집]



  • 행성코어는 3레벨 이상의 괴수습격을 받을 때마다 경험치를 획득하며, 경험치가 일정 수준 쌓이면 GD를 사용해 레벨을 올릴 수 있다. 행성코어 레벨이 오르면 에너지의 최대 보관 상한이 500 올라간다.

  • 행성기관은 3레벨 이상의 괴수습격을 받을 때마다 경험치를 획득하며, 경험치가 일정 수준 쌓이면 GD를 사용해 레벨을 올릴 수 있다. 행성기관 레벨이 오르면 에너지 전환 보너스가 2%p 올라간다. 가령 에너지 전환 보너스가 10%인 경우, 행성기관에 100 에너지를 전송할 때마다 행성기관이 110만큼 충전된다.

  • 스퀘어 오브젝트는 한 회차가 종료될 때마다 경험치를 획득하며, 경험치가 일정 수준 쌓이면 GD를 사용해 레벨을 올릴 수 있다. 스퀘어 오브젝트 레벨이 올라가면 다음 회차 시작시부터 초기 보호막 최대치가 10000 상승하며, 스퀘어 가동시 선택 가능한 난이도가 추가로 개방된다. 가동된 상태에서 레벨을 올리면 보호막 상한만 늘어나고 현재 보호막은 늘어나지 않으므로, 회차 종료 후 가동 전에 레벨을 올리는 것이 좋다.

6. 운영상의 팁[편집]


  • 안정적인 운영을 지향한다면 항시 대규모괴수의 규모보다 높은 출력을 유지하면 된다. 위험을 감수하고 회차 클리어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자 한다면, 중규모 괴수의 규모 정도로만 출력을 유지하거나 괴수가 올 법한 타이밍[7]에만 출력을 높게 유지하는 전략도 흔히 쓰인다.
  • 괴수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습격해온다. 안정적으로 운영하고자 한다면 잠들기 전에 출력을 높게 충전해 새벽에 큰 피해를 입는 일을 막아야 한다. 다만 잠을 매우 짧게 자지 않는 한 일어나기 직전의 습격은 결국 불가항력에 가깝다.
경과시간출력잔량
15분95%
30분90%
45분85%
1시간81%
2시간66%
3시간54%
4시간44%
5시간35%
6시간29%
7시간23%
8시간19%
9시간15%
10시간12%
11시간10%
12시간8%
  • 행성상자가 20레벨을 찍기 전까지는 괴수습격이 매우 잦으므로 대규모 괴수를 완막할 정도의 출력을 항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 구간에서 출력을 충분히 높이지 않고 잠들면 밤새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잠들기 직전에는 스퀘어를 새로 가동하지 않는 것이 좋다.
  • 현재의 스퀘어 오브젝트는 지나치게 무작위성이 높고 많은 노력을 투입해야 하는 구조이다. 이에 대하여 제작진도 최우선 개선대상으로 인지하고 있으며 다방면의 난이도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하니, 열심히 돌릴 여건이 되지 않는다면 당장 무리하여 시도하기보다는 키를 아껴두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1] 시뮬레이션 가동 인터페이스의 문구. 원작에 등장하는 대사를 각색한 것이다.[2] 번1, 번2, 번3, 형1, 형2, 형3, 식1, 식2, 식3으로 표기한다.[3] 대략 3시간 조금 넘는 반감기를 갖는다고 보면 된다.[4] 본래는 아무런 보상이 지급되지 않았으나, 그나마 개선된 것[5] 가령, 현재 행성상자 레벨과 무관하게 35레벨일 때 마지막으로 괴수가 습격했다면 다음에 습격할 괴수의 레벨은 4이다. 이때 만일 55레벨까지 상자를 키운 상태에서 괴수가 습격했다면 다음에 습격할 괴수의 레벨은 6이 된다.[6] 이 구간은 아래의 표에서 별도 색상으로 표시되었다.[7] 3레벨 이상의 괴수는 일반적으로 24시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습격한다. 그러나 습격 간격은 기본적으로 랜덤이고 단시간에 연속으로 습격하는 일도 분명 가능하니 주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02:56:25에 나무위키 나이트런: 레콘키스타/스퀘어 오브젝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